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바이크 초보가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10가지

by 레오마니 2025. 8. 8.

남편이 바이크를 탑니다.

남편도 초보예요^^ 동호회 가입해서 한번씩 라이딩 가는 수준이예요 

처음에 슈퍼커브로 시작했고 

두번째 뭘 하나 샀는데 제가 이쪽으론 잘 몰라서 이름을 잘 모르겠어요

암튼 저도 슈퍼커브로 시작 해 보려고 합니다. 

주차장에서 잠깐 시승했는데 생각보다 어렵더라구요 

남편 지도하에 연습해서 원동기 면허부터 취득할 생각입니다. 

좋은 취미가 하나 생기면 좋겠는데 이거 제가 끝까지 할진 모르겠습니다. ㅠㅠ

 

 

 

 

 

 

▣  바이크 초보가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10가지

1. 면허와 보험은 기본 중의 기본

이륜차 면허(2종 소형 또는 원동기)는 법적으로 필수입니다.

바이크 보험 또한 의무보험 대상이므로 미가입 시 처벌받을 수 있어요.

보험은 자차 + 대인 + 대물 포함 여부 확인 후 가입하세요.

 

2. 무조건 작은 배기량부터 시작하기

처음부터 고배기량(600cc 이상)은 위험하고 비싸며 다루기 어렵습니다.

125cc 이하 스쿠터나 250cc 이하 네이키드로 충분히 연습하는 게 좋아요.

제동감, 밸런스 감각, 클러치 조작 등을 익히기 위한 ‘입문용 모델’부터 추천합니다.

 

3. 장비는 과할수록 좋다

헬멧은 무조건 인증받은 풀페이스 헬멧이 좋습니다.

라이딩 재킷, 장갑, 라이딩 부츠, 무릎·팔꿈치 보호대 등도 필수입니다.

“넘어질 준비를 하고 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첫 바이크는 넘어지는 게 정상입니다.

 

4. 자세와 눈높이를 익혀라

운전 자세가 무너지면 코너링이나 브레이킹에 치명적입니다.

고개를 숙이지 말고 항상 ‘가고 싶은 방향’을 보고 시야를 멀리 두는 습관을 들이세요.

 

5. 좌우 밸런스도 꾸준히 연습 필요.

클러치와 브레이크 조작은 반복 훈련
반클러치, 출발-정지, 저속 주행 등은 이론보다 몸이 기억하게 해야 합니다.

급출발, 급정거는 초보자에게 가장 위험한 실수입니다.

 

6. 코너 진입 시 무리하지 않기

처음에는 커브길이 특히 무섭습니다.

속도를 줄이고, 기울기를 과하게 주지 말고, 코너 중에는 브레이크를 잡지 않도록 하세요.

“코너는 준비가 80%, 진입은 20%”라는 말처럼, 진입 전 감속이 핵심입니다.

 

7. 도로 위에서 항상 ‘예상 운전’하기

차들이 당신을 보지 못할 수도 있다는 가정 하에 운전해야 합니다.

특히 트럭, SUV 옆, 사각지대, 교차로에서는 속도를 줄이고 두세 번 좌우 확인하세요.

 

8. 비 오는 날은 되도록 타지 않기

초보 시절엔 빗길 운전은 피하세요.

노면 미끄러짐, 제동 거리 증가, 시야 저하로 인해 위험이 급증합니다.

특히 맨홀 뚜껑, 페인트 라인, 금속 배수구는 매우 미끄럽습니다.

 

9. 정비와 점검은 꼭 주기적으로 하기

타이어 공기압, 브레이크 패드, 체인 장력, 오일 상태는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바이크는 자동차보다 작은 이상에도 사고 위험이 큽니다.

운행 전 ‘T-CLOCK’ 점검(타이어, 컨트롤, 라이트, 오일, 체인 등) 습관화 필수!

 

10. 경험을 과신하지 말기

3개월만 지나면 익숙해지고, 6개월쯤 되면 자신감이 붙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가 가장 위험합니다.

바이크는 ‘방심하는 순간이 곧 사고로 이어지는’ 탈것임을 잊지 마세요.

 

※ 마무리 TIP

처음 바이크를 접하는 초보는 ‘생존 운전’ 마인드가 중요합니다.

좋은 강사에게 라이딩 스쿨을 배우는 것도 훌륭한 선택입니다.

천천히, 안전하게, 꾸준히 탈수록 진짜 재미와 자유로움이 찾아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