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대해5 사랑니가 옆으로 자랄 때 생기는 치아 손상 큰아들 입대를 앞두니 마음이 조급해지네요군대가서 힘들까봐 큰아이 데리고 안과도 갔다가 치과도 갔어요치과에 갔더니 아래쪽 사랑니가 옆으로 누워 자라고 있더라구요 어떻게 그럴수가 있지?? 싶었는데남편 왈 " 나도 그랬어!!" 헐~~ 유전이구만!!!그래서 큰아이 사랑니 발치할때 작은 아이도 검진 받아보려구요 유전이니깐 작은 아이도 그럴지도 몰라서 ㅠㅠ우리집 큰아이는 누워 자라는 아랫니 2개, 윗니2개 발치예정입니다. 아랫니 옆에 영구치에도 상처를 줘서 그 영구치도 치료를 해야 한다네요 고생하곘어요 울 아들~~~~ 둘째는 괜찮아야 할텐데 사랑니는 반드시 발치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많은 경우 예방적 또는 치료 목적으로 발치를 권장합니다. 사랑니의 위치, 상태, 주변 치아.. 2025. 5. 13. 치근단염이란? ▣ 치근단염이란?치근단염(Periapical periodontitis)은 치아 뿌리 끝, 즉 치근단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대부분의 경우 치아 내부에 있는 신경조직(치수)이 죽거나, 감염되었을 때 발생한다.염증은 치아 속 신경을 통해 뿌리 끝으로 퍼지며, 그 부위에 고름이 차거나 뼈가 녹는 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원인치근단염의 주요 원인은 심한 충치이다. 충치가 깊어져 신경까지 침범하면, 세균이 치수 조직을 감염시키고 괴사된 조직이 뿌리 끝으로 내려가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또한 과거에 받은 신경치료가 불완전했거나, 치아에 금이 가서 세균이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 또는 외상 등으로 신경이 손상된 경우에도 치근단염이 생길 수 있다.▣ 증상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염증이 진행되면.. 2025. 5. 11. 홍역 감염 주의보 & 대처법 해외여행 후 귀국하셨나요? 홍역감염 주의보 해외 유입 홍역 환자 증가 중!해외 다녀온 후 발열이나 발진이 있다면 꼭 확인하세요.▣ 홍역이란?공기로 전염되는 전염력 강한 감염병증상: 고열, 기침, 결막염, 몸 전체에 퍼지는 발진심하면 폐렴·뇌염 등 합병증 발생 가능▶ 왜 지금 주의해야 하나요?동남아, 유럽 등 홍역 유행국 증가해외여행객 사이에서 국내 유입 사례 보고코로나 이후 백신 접종률 감소로 면역 공백 발생▶ 예방하려면?✔ MMR 백신(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2회 접종 완료했는지 확인✔ 해외 출국 전 접종 여부 꼭 체크✔ 귀국 후 3주 이내 발열·발진 시 병원에 즉시 연락✔ 감염 의심 시 등교·출근 자제▶꼭 기억하세요! “홍역은 한 명만 걸려도 90% 이상 전파될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이 최고의.. 2025. 5. 10. 잇몸에 고름주머니? 그냥 두면 큰일나요! 양치하다가 잇몸에 몽글한 혹처럼 잡히는 통증…손으로 만지면 아프고, 고름이 나오는 경우도 있어요.그게 바로 잇몸 고름주머니, 정확한 이름으로는 치은농양 또는 치주농양입니다.그렇다면 이런 고름주머니는 왜 생기는 걸까요? 원인 1. 치석과 세균이 쌓여 염증이 생긴 경우칫솔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치아 사이에 플라그와 치석이 쌓이고,그곳에 세균이 번식하면서 잇몸 속 염증으로 이어집니다.▶ 세균 감염이 진행되면 고름이 차오르며 주머니를 만들게 돼요. 원인 2. 치주염(잇몸병)이 심해진 경우단순한 염증을 넘어서잇몸뼈(치조골)가 녹고, 잇몸이 주저앉는 단계까지 진행되면고름주머니가 자주 생기게 됩니다. ▶ 만성 치주염 환자에게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에요.▶ 이 경우 치료 없이 방치하면 치아가 흔들리고 빠질 수 있습니.. 2025. 5. 8. 식용유가 암을 유발한다고?? 오늘 아침에 휴대폰을 열었더니 식용유가 암을 유발한다는 기사가 떴네요 식용유가 건강에 해롭다고만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식용유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건강한 지방 공급원이 될수가 있어요오늘은 식용유를 더 안전하고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기름은 종류마다 성분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조리 방식에 따라 적절한 기름을 선택해서 사용하는것이 중요해요예를들어 볶음 요리에는 카놀라유, 샐러드에는 올리브유, 고소한 풍미를 낼 땐 들기름이나 참기름처럼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써주는 것이 좋아요또한 오메가-3가 풍부한 들기름이나 아마씨유 그리고 등푸른 생선 등을 통해 지방 섭취의 균형을 맞춰주는 것도 필요해요 튀김기름은 재사용하지 마세요기름은 고온에서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1~2회 이상 사용하는 것은 .. 2025. 4.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