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근단염이란?
치근단염(Periapical periodontitis)은 치아 뿌리 끝, 즉 치근단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대부분의 경우 치아 내부에 있는 신경조직(치수)이 죽거나, 감염되었을 때 발생한다.
염증은 치아 속 신경을 통해 뿌리 끝으로 퍼지며, 그 부위에 고름이 차거나 뼈가 녹는 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 원인
치근단염의 주요 원인은 심한 충치이다. 충치가 깊어져 신경까지 침범하면, 세균이 치수 조직을 감염시키고 괴사된 조직이 뿌리 끝으로 내려가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과거에 받은 신경치료가 불완전했거나, 치아에 금이 가서 세균이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 또는 외상 등으로 신경이 손상된 경우에도 치근단염이 생길 수 있다.
▣ 증상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염증이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씹을 때 통증이 느껴진다.
-치아가 뜨는 느낌이 들고, 손으로 눌렀을 때 아프다.
-잇몸에 고름주머니(누공)가 생기기도 한다.
-통증이 간헐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심한 경우 얼굴이 붓거나 발열, 전신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치료
치근단염의 치료는 염증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핵심이다.
가장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근관치료(신경치료)이며,
감염된 신경과 조직을 제거한 후, 뿌리관을 깨끗이 소독하고 밀폐한다.
만약 기존 신경치료를 받았던 치아에서 염증이 재발한 경우에는
재신경치료가 필요하며, 드물게는 치근단절제술(외과적으로 뿌리 끝 염증을 제거하는 수술)이 시행되기도 한다.
치아 구조가 회복 불가능한 경우에는 발치가 불가피할 수도 있다.
▣ 예방법
치근단염은 예방이 중요한 질환이다.
정기적인 스케일링과 검진, 충치 조기 치료, 구강 위생 관리로 대부분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는 정기적으로 치과에서 엑스레이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치아 통증이 없어도, 씹는 느낌이 달라졌거나 미세한 통증이 반복될 경우 빠른 치과 진료가 필요하다.
'건강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니가 옆으로 자랄 때 생기는 치아 손상 (2) | 2025.05.13 |
---|---|
홍역 감염 주의보 & 대처법 (5) | 2025.05.10 |
잇몸에 고름주머니? 그냥 두면 큰일나요! (0) | 2025.05.08 |
식용유가 암을 유발한다고?? (2) | 2025.04.19 |